티스토리 뷰
1. Response 객체
- response 기본 객체에서 가장많이 사용하는 기능 중 하나는 redirect 기능이다. 이것은 웹 서버가 웹 브라우저에게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라고 응답하는 기능이다.
- 예를 들어, 사용자가 로그인에 성공한 후 메인 페이지로 자동으로 이동하는 사이트가 많은데 이렇게 특정 페이지를 실행한 후 지정한 페이지로 이동하기 원할 때 이 기능을 사용한다.
- redirect : 웹 서버가 웹 브라우저에게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라고 응답하는 기능이다. 웹 브라우저로부터 새로운 요청을 받게 되므로 기존 요청정보가 사라진다.
response.sendRedirect("페이지 주소");
2. request객체의 forward
다른 JSP 페이지로 요청 처리를 전달(사용자의 요청정보가 공유됨)한다. 반환되는 페이지에서 이전 요청에 대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.
request.getRequestDispatcher("페이지 주소").forward(request,response);
- 당연히 이렇게도 사용가능하다.
RequestDispatcher rd = request.getRequestDispatcher("페이지 주소");
rd.forward(request,response);
※ redirect는 request가 2번 되는 과정에서 두 번째 request가 처리될 때 첫 번째 request는 처리되지 않는다.(redirect시 null이 출력된다.) 그러나 forward는 request가 한 번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request객체가 그대로 남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다.
'JSP과 Servle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6/09 JSP - 쿠키(Cookie) (0) | 2023.06.13 |
---|---|
06/08 JSP - 내장객체(3) : Out객체, Exception객체, application 객체 (0) | 2023.06.08 |
06/03 JSP - 내장객체의 종류, 내장객체(1): request (0) | 2023.06.07 |
06/02 JSP와 Servlet, 지시어(page, include), _jspServlet메서드 (0) | 2023.06.02 |
06/01 eclipse에 Tomcat서버 연동하기 (0) | 2023.06.01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국비
- JSP/Servlet
- CSS
- JavaScript
- eclips
- Servlet
- java
- coding
- SQL
- Eclipes
- Spring
- type
- HTML
- 코딩
- 속성
- 커넥션 풀
- input태그
- JSP
- sql developement
- Eclipse
- Spring Framework
- array
- tld
- 데이터베이스
- Database
- oarcle
- json
- SQL Developer
- maven
- frontend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